728x90
반응형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 후 안정적으로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장애인 및 만 60세 이상의 근로자도 일반 실업급여와 동일한 절차로 신청할 수 있지만, 특정 상황에 따라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신청 절차와 주요 사항을 안내합니다.
1. 실업급여 신청 대상
공통 조건
- 고용보험 가입 이력: 최소 180일 이상 근무.
- 비자발적 실업: 본인의 의지와 무관한 사유(권고사직, 계약 만료 등)로 퇴사.
- 재취업 의사: 구직활동에 대한 의지와 계획을 증명해야 함.
장애인 및 만 60세 이상 대상 특이사항
- 만 60세 이상: 퇴직 당시 연령이 60세 이상이어도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충족되면 실업급여 대상이 됩니다.
- 장애인: 재취업 지원 서비스 등 고용센터에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음.
2. 실업급여 신청 절차
1) 퇴직 확인서 발급
- 퇴직한 사업장이 고용보험 퇴직 확인서를 고용센터에 제출해야 합니다.
- 만약 제출하지 않으면 본인이 직접 고용센터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2) 워크넷 회원 가입 및 구직등록
- 장애인과 만 60세 이상인 경우 구지활동을 하지 않고 고용24에 나와있는 취업특강을 4주에 1회만 수강하면 됩니다.
![]() |
3) 실업 인정 신청
- 고용센터에 방문하여구직등록 후 구직활동 내용을 제출해 실업 인정을 받습니다.
- 장애인의 경우 재취업 준비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용센터에 사전 알리는 것이 유리합니다.
5) 급여 지급
- 실업 인정을 받은 후 1~2주 이내로 첫 실업급여가 지급됩니다.
- 실업급여는 매월 구직활동을 증명할 때마다 지급됩니다.
3. 실업급여 금액 및 지급 기간
지급 금액
- 1일 지급액: 이직 전 평균 임금의 60%.
- 지급 상한액(2024년 기준): 하루 최대 66,000원.
- 지급하한액(2024년 기준): 하루 최소 26,000원
지급 기간
- 가입 기간 및 연령에 따라 다르며, 장애인 및 고령자의 경우 최대 270일까지 지급됩니다.
- 자세한 지급 일수는 고용센터에서 확인 가능.

4.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
- 고용센터 상담: ☎ 1350 (고용보험 상담센터)
- 장애인 고용공단: 장애인 대상 취업 지원 및 상담 제공.
- 워크넷: 구직 정보와 지원 사업 정보 확인 가능.
실업급여는 안정적인 재취업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신청 자격이 충족되면 신속히 준비하여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
반응형
LIST
'경영 및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취업 지원 제도 안내 (0) | 2024.12.04 |
---|---|
국민연금 인터넷 납부서비스: 간편한 연금 납부 방법 (1) | 2024.12.03 |
소득 없는 개인의 국민연금 납부 예외 제도 (0) | 2024.11.27 |
긴급복지 지원제도 지원대상, 선정기준, 지원내용 및 지원절차 (0) | 2024.11.26 |
건강보험료 연체 시 압류 조건 및 해제 방법 (0) | 2024.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