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및 생활정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개념

by 스카이랑 2024. 9. 1.
728x90
반응형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개념과 발전 과정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개념은 195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Bowen(1953)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습니다. 그는 CSR을 "기업인이 우리 사회의 목표와 가치에 부합하는 정책을 추구하고, 그러한 의사 결정을 수행해야 할 의무"로 규정했습니다. 이 개념은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하고 확산되었습니다.

CSR 개념의 확산과 발전

1960년대에 CSR 개념은 널리 확산되었고, 1970년대에는 기업의 사회적 반응(corporate social responsiveness)과 사회적 실행(corporate social performance)과 같은 관련 개념들이 등장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CSR에 대한 지수화 및 실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1990년대에는 이해관계자 이론, 기업윤리 이론, 기업 시민(corporate citizenship), 지속가능 경영(sustainable business) 등 다양한 주제로 확대되었습니다.

Maignan and Ferrell(2004)은 CSR을 사회적 책임, 스테이크홀더에 대한 책임, 윤리에 기반한 CSR 활동, 그리고 경영 과정으로서의 CSR 활동으로 정의하였습니다. Brown and Dacin(1997)은 CSR을 "지각된 사회적 책무와 관련된 기업의 위치와 활동"으로 정의하였습니다. CSR은 연구자의 관심 영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기업시민정신(Corporate Citizenship),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Corporate Commitment Activity), 자선 활동(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y), 지역사회 참여(Corporate Community Participant), 지역사회 개발(Community Development) 등이 그 예입니다(Kotler and Lee, 2005).

CSR의 다양한 정의와 접근 방식

CSR 개념은 연구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ignan and Ferrell(2004)은 CSR이 오래전부터 경영학의 주요 연구 과제로 다루어져 왔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사회적 책무, 스테이크홀더에 대한 책무, 윤리에 기반한 CSR, 그리고 경영 과정으로서의 CSR로 개념화하였습니다.

Bowen(1953)은 CSR을 기업이 사회에 대해 지니는 책무로 개념화하면서, 기업이 사회의 목적과 가치에 부합하는 정책을 추구하고 의사결정 및 행동을 수행할 책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Carroll(1979)은 CSR을 경제적, 법적,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으로 세분화하여, 이들이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고 주장했습니다.

Carroll(1991)은 CSR 활동을 네 가지 단계로 분류했습니다. 첫 번째는 경제적 책임으로, 이윤 창출을 통해 사회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법적 책임으로, 기업이 법과 규정을 준수하는 책임입니다. 세 번째는 윤리적 책임으로, 사회가 기대하는 윤리적인 책임을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선적 책임은 사회적 기부와 같은 자발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CSR의 현대적 의미와 지속가능 경영

오늘날 CSR 활동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통합적 접근을 의미합니다.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을 균형 있게 추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Carroll, 1999). 여기서 CSR의 3대 분야는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이며, 환경 경영, 정도 경영, 사회공헌 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업은 자원봉사, 기부금 기탁 등 기존의 자선 활동을 넘어, 경영 전략과 연계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적 사회 활동도 포함해야 합니다.

Kotler and Lee(2005)는 CSR을 "경영 프랙티스와 내부 자원의 기부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를 향상하는 의무"로 정의하면서, CSR이 법률이나 윤리적 기준에 의해 강제되지 않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의무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기업이 지역사회 복지, 삶의 질, 환경 등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CSR의 핵심 원칙과 책임

Staples(2004)은 CSR을 설명하며, 기업이 준수해야 할 다섯 가지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1. 근로자들을 공정하게 대우할 것.
  2. 도덕적이고 정직하게 기업을 경영할 것.
  3. 기본적 인권을 존중할 것.
  4. 환경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할 것.
  5.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이웃을 돌볼 것.

Hamann(2003)은 CSR이 지속적이고 통합적이며, 공평한 사회·경제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업은 주주뿐만 아니라 종업원, 소비자, 지역사회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에게도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김이환(2005)은 CSR을 "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이해관계자와 사회 일반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업 행동의 규범적 체계"로 정의했습니다. 이는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CSR은 기업의 필수적인 전략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제 단순히 이윤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좋은 기업"이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