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24 CSR의 진화와 현대 기업 전략에 미치는 영향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개념은 1953년 Bowen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으며, Carroll(1979, 1999)이 CSR의 이론적 기반을 확고히 다지면서 오늘날 기업 시민정신, 사회적 공헌, 자선 활동, 지역사회 개발 등으로 다양하게 확장되었습니다. Kotler와 Lee(2005), Porter와 Kramer(2006)에 따르면 CSR은 연구자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Carroll(1999)은 소비자들이 기업을 단순한 이익 추구의 주체로 보지 않고, 사회적 책임과 도덕적 의무를 수행하는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업은 단순한 이윤 극대화가 아닌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해야만 바람직한 기업으로 평가받습니다.과거와 현재의 CSR 인식 변화과거 CSR 활동.. 2024. 9. 7. 기업역량(CA)과 CSR: 소비자의 제품 평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이미지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어떤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칠까요? 이는 기업의 기술적 역량과 사회적 책임(CSR) 활동 간의 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Brown and Dacin(1997)은 이를 "기업연상(Corporate Association)"이라는 개념으로 연구하면서, 기업연상을 두 가지 범주로 구분했습니다. 첫 번째는 기업역량(Corporate Ability, CA)이고, 두 번째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입니다. 기업역량(CA)과 CSR의 차이점기업역량(CA)은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적 능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연구개발 능력, 생산 능력, 그리고 고품질의 제품을 만드는 .. 2024. 9. 7. CSR과 CRM: 소비자 참여의 심리적 동기와 긍휼의 역할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이 중요한 경영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서 발간한 '2018 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국내 매출 500대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액이 2조 7천24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CSR의 중요성을 점점 더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그러나 CSR 활동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에 따르면 CSR 활동이 소비자 만족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는 반면, 때로는 소비자의 설득 지식(persuasion knowled.. 2024. 9. 6. CSR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선택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 경영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CSR 활동이 기업의 이미지와 평판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CSR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보겠습니다.1. CSR의 네 가지 책임과 소비자 기대Carroll(1979)은 CSR을 경제적 책임, 법률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으로 구분하였습니다. 경제적 책임은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고 경제적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책임을 의미합니다. 법률적 책임은 기업이 법을 준수해야 하는 의무를,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 2024. 9. 2.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8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