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휼의 효과(1): 진화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긍휼의 힘
긍휼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관심과 공감, 돌봄을 이끌어내며 이타적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자원봉사나 사회적 지지, 종교 활동 참여 등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과도 연관이 있으며(Hwang et al., 2008; 김완석・신강현, 2014; Sprecher and Fehr, 2005), 긍휼은 여러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긍휼의 효과를 진화론적 관점에서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해 보겠습니다.1. 종족 보존과 자기 관련성 높은 사람들에 대한 보살핌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때, 긍휼은 종족 보존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긍휼은 연약한 자식들이 독립적으로 생식 가능한 연령에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의 보살핌을 제공해 줍니다(Bowlby, 1969; Hrdy, 2000; Mikul..
2024. 9. 9.
긍휼의 선행요건으로서 고통(Suffering)
고통의 정의고통은 인간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달라이 라마(2005)는 "고통은 인간 삶의 일부이며, 누구나 경험하는 보편적인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Lilius et al.(2011)은 질병, 죽음, 가정 문제, 재정적 어려움 등 일상에서 겪는 모든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고통으로 정의했습니다. 또한 Stellar et al.(2015)은 긍휼을 유발하는 고통의 다양한 종류를 제시하며, 질병, 장애, 기아, 빈곤 등을 포함한다고 주장했습니다.Dutton et al.(2002)은 9/11 테러와 같은 사회적 재앙이나 재난을 고통으로 정의하였으며, Gilbert(2003)과 Wang(2005)은 아프리카의 장애인들이 겪는 굶주림을, Hoijer(2004)는 전쟁과 내란으로 인한..
2024. 9. 9.